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21)
basic - 표와 그래프(2) 줄기 잎 전시 ~ 특이값 1. 줄기 잎 전시..?(stem - and - leaf display...?) 그것은 히스토그램을 옆으로 돌려놓은 것과 같다... ...줄기의 증가속도... 그게 뭔데 줄기의 증가속도 = 2니까 잎은 (0,1) (2,3) (4,5) (6,7) (8,9) 이런식으로 나눌 수 있고 줄기의 증가속도 = 5 이라면 (0,1,2,3,4) (5,6,7,8,9) 로 나눌 수 있다 2. 상자(수염)그림(Box-and-whisker plot) 자료를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다섯숫자요약을 할 수 있다. 다섯숫자요약이란? 최솟값 일사분위수(first quartile) 중앙값 삼사분위수(third quartile) 최댓값 이것이...다섯숫자요약이다 그림으로 확인해보자 중앙값은 대칭성을 알기에 굉장히 유효하다. 3. 산점도..
basic - 표와 그래프(1) 도수분포표 ~ 히스토그램 1. 도수분포표(33p) 범주형(순서형/명목형) 자료를 통해 만들 수 있으며 숫자형 자료를 통해서도 만들 수 있다. 2. 막대/파이 그림(35p) 명목형 자료를 그래프로 표기하기 위해 이용한다 3. 히스토그램 순서형 자료/숫자형 자료 도수분포표로 이용하여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 것 참고로 숫자형 자료를 표현할 수 있는 표/그래프는 - 히스토그램 - 줄기잎전시 - 상자그림 등이 있다. * 히스토그램 추가사항 1. 대칭(Symmetry) 2. 왜도(Skewness) 1) 양의 왜도(Right skewed) : 오른쪽으로 늘어짐 2) 음의 왜도(Left skewed) : 왼쪽으로 늘어짐
Basic - 통계학 정의, 표본과 모집단, 자료의 종류 및 계층 먼저, 통계학을 배우기 전 가장 중요한 질문이 있다. 1. 통계학 그게 뭔데? 통계학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해보면 자료를 정리, 요약, 수집하는 활동(기술통계) 표본으로 모집단 추론(추론통계) ERROR(오차) 해석 BigData 여기서 잠깐 ! 2. 표본과 모집단에 대해서 알아보자 예를 들어 연세대 대학생들의 용돈에 대한 통계를 추론하고 싶다고 한다면 모집단: 용돈 받는 한국 대학생 전체 표본: 용돈 받는 연세대 대학생들 3. 자료의 종류 및 계층 숫자형: 사칙연산이 가능한 데이터 범주형 : 사칙연산 불가능한 데이터 종류 : 1) 순서형 데이터 2) 명목형 데이터 변형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200점을 받은 학생은 학점 A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PASS이다 여기서 200점(숫자형 데이터) A(순서형 데이터..
해석학 그거 어떻게 공부하는건데. (2)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해석학 그거 어떻게 공부하는건데.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